아무리 소리가 좋은 기타 줄이라도 빠르게 부식되어 고유의 톤을 잃어버린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가장 긴 수명을 가진 엘릭서 스트링의 인기가 이 것을 증명해준다. 특히 손에 땀이 많은 연주자들의 경우 다른 대안이 없다고 입 모아 말할 정도니 그 위상을 실감할 수 있다. 이런 압도적 인기를 가진 엘릭서에게도 경쟁자가 생겼는데 바로 지금 소개할 다다리오 XS 스트링이다. 다다리오가 고급화(?) 전략으로 내놓은 XT 시리즈에 이어, 다른 코팅방식으로 내놓은 신제품이다. 과연 엘릭서만큼의 수명을 가질지, 음색에서는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직접 느껴보기 위해 구입했다. 검은색의 XT와 대비되는 흰색 케이스 다다리오 XS는 커다란 X가 적힌 흰색 케이스에 담겨있다. 먼저 출시된 XT의 검은색과 대비 된다. 개인적으로는..
장력이 약한, 또는 손 안 아픈 기타 줄로 통하는 로우 텐션 스트링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GHS도 그냥 두고 볼 수 없었는지 같은 콘셉트의 신제품을 내놓았다. 원래는 로우 텐션 콘셉트의 스트링을 선호하진 않아서 지나치려고 했는데 라운드 코어로 제작했다는 말에 눈을 번뜩이며 구입했다. 라운드 코어 스트링인 DR 선빔을 만족스럽게 사용했던 기억의 영향이다. 라운드 코어로 만드는 로우 텐션 스트링은 어떤 느낌일까? [스트링/통기타줄] - 라운드 코어 스트링을 추천하는 이유 - DR 썬빔 기타줄 라운드 코어 스트링을 추천하는 이유 - DR 썬빔 기타줄 블로그를 시작한 후 매달 통기타 줄을 교체하다 보니 수명이 남은듯한 기타 줄을 교체할 때면 아까운 마음이 들 때가 있다. 반면 빨리 써보고 싶어서 마음이 설레..
통기타 줄을 이야기 하면서 포스포 브론즈를 빼놓을 수는 없다. 저음이 풍부하고, 따뜻한 톤을 가지고 있는 데다 잘 정돈된 소리를 내 주기 때문에 많은 연주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스트링 제조사들도 각 사의 플레그쉽을 포스포 브론즈로 내놓고 있다. 그러니 특정 제조사, 혹은 브랜드의 음색 특징을 논하기 위해서는 포스포 브론즈를 가장 먼저 사용해보는 것이 정석이겠다. 그런데 유독 ghs 스트링은 포스포 브론즈 외의 다른 성분의 기타줄만 써왔다. 빈티지, 인피니티 등 독특한 이름에 끌려서 구입해온 결과라 볼 수 있다. 어쨌거나 이제야 ghs 스트링의 기본기를 느껴볼 수 있는 포스포 브론즈를 사용해본다. GHS 스트링의 기준 이제는 익숙한 비닐포장이다. 부식의 측면에서는 종이상자로..
최대한 다양한 기타 줄을 사용하려다 보니 같은 제품을 두 세트 이상 구입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단종으로 인한 재고 정리의 영향으로 아주 저렴해진 다다리오 EXP11은 두 세트 구입했다. 워낙 저렴하기도 했지만 단종에 대한 아쉬움도 있었기 때문이다. 리뷰를 쓰고 하나 남은 것은 선물용으로 놔둘까 하다가 그냥 다른 기타에도 걸어보기로 했다. 같은 스트링이 어떻게 다르게 들릴지 기대하면서 말이다. 시그마 DR-1ST는 어떤 기타인가? 사용한 기타는 시그마 DR-1ST로 DT-1STE+의 전신이다. 단종된 지 3년이 되었지만 단골 악기점에 아직 재고가 하나 남아 있어서 얼른 하나 챙겨 왔다. DT-1STE+는 측후판이 '틸리아', 지판과 브릿지가 '미카르타'인 반면, DR-1ST는 이것들이 모두 로즈우드..
너트 세팅이 안되어 있다는 이유로 방치해온 클래식 기타를 정비하기에 앞서 오래된 기타 줄부터 교체하기로 했다. 그러나 통기타 줄과는 달리 클래식 기타 줄에 대한 지식은 없는 것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공부한다는 핑계로 또 미뤄왔다. 어처구니없게도 막상 구입하게 된 제품은 쿠팡의 로켓배송 금액을 맞추기 위해 급히 선택한 '적당한 가격'의 스트링이다. 그마저도 재고가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어서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클래식 기타줄 명품 브랜드 사바레즈, 그리고 레오니다 클래식 기타 줄을 처음 구입하는 내게도 '사바레즈'라는 브랜드가 그리 낯설지는 않다. 어쩌면 이 스트링을 덥석 구입한 것도 사바레즈라는 이름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예상대로 클래식 기타 줄로 굉장히 유명한 브랜드였고, 품질에 ..
품질로 보나 가격으로 보나 다다리오 EXP16은 가장 무난하게 추천할 수 있는 기타줄이다. 다다리오 스트링이 취향에 맞지 않는 연주자들도 이 점을 딱히 부인하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약한 장력의 기타줄을 원하는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소리만큼이나 연주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주자가 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연주자들에게 종종 "EXP16 같은 소리에 장력이 좀 더 약한 줄은 없을까?"와 같은 질문을 받곤 하는데 이 글에서 소개할 EXP26이 거기에 가장 부합하지 않을까 싶다. 다다리오 EXP26 3팩 지인의 기타줄을 교체해 줄 겸, 내 기타에도 걸어보려고 3팩 제품을 구입했다. 락하우스에서 35,000원에 구입했는데 세트당 11,700원이 조금 안 되는 가격이다. 한 세트의 인터넷 최저가..
국민 기타 줄이라 해도 될 만큼의 위상을 가진 다다리오 EXP16, 그에 비하면 EXP11의 인기는 초라한 수준이다. 포스포 브론즈와 80/20 브론즈의 차이가 그리도 큰 것일까? EXP16의 소리야 익히 알고 있지만 EXP11의 느낌을 떠올려보기에는 너무 오랜 시간이 흘렀다. 그래서 가격이 저렴해진 기회를 틈타 오랜만에 구입해봤다. 다다리오 EXP11의 전반적인 특징 이 글을 읽고 있는 대부분의 분들은 이미 알고 있으시겠지만, EXP11은 코팅이 된 80/20 브론즈의 라이트 게이지 스트링이다. 아래의 글을 참고하면 어느 정도 줄의 특징을 유추해볼 수 있다. [스트링/기타줄] - 기타줄 추천 받기에 앞서 종류부터 알아보자 기타줄 추천 받기에 앞서 종류부터 알아보자 애초에 한편으로 정리하려 했던 '기타줄..
지난가을, 오랜 단골 악기점인 락하우스에 들렀다가 다다리오 EXP16 벌크 스트링이 입고되었다는 소식을 접했다. 사장님 말씀으로는 거래처가 마지막 물량이라며 제안한 것이라 한다. 요즘엔 즐겨 사용하지는 않지만 워낙 가성비로 유명한 기타줄이고, 선물하기도 좋은 아이템이라 여러 개를 구입해두었다. 겸사겸사 블로그에도 소개해본다. [악기 리뷰/악기점 및 리페어샵] - 대구의 악기사(악기점)를 추천하라면 주저 없이 락하우스를 소개하겠다 대구의 악기사(악기점)를 추천하라면 주저 없이 락하우스를 소개하겠다 지난 글에서 새로 생긴 리페어샵 '문기타'를 소개했다. 사실은 나의 단골 악기사(악기점)인 '락하우스'를 소개하려고 벼르고 있던 참이었는데 우연히 순서가 바뀐 것이다. 막상 계획했던 글을 쓰 acousticc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