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쿠스틱 에세이16

기타 레슨, 아는 사람이 더 못한 경우도 있다(서로 배려가 필요하다) 나는 주로 기타를 가르치는 일을 한다. 이 일의 가장 큰 장점은 소위 말하는 '진상 고객'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인생에 울림을 주는 은인과도 같은 분들을 많이 만나 왔으니 이보다 좋은 일도 없다고 생각이 들 정도다. [어쿠스틱 에세이] - 기타 강습에 대한 같은 말, 다른 뜻 기타 강습에 대한 같은 말, 다른 뜻내가 잠시 음악학원에서 일했을 때, 식사를 마친 원장이 나에게 말했다. "대충 놀아주고 돈도 벌고, 참 좋은 일이지 않냐?" 나와 비슷한 꿈을 가진 사람이라 생각했고, 귀인이라 여겼던 원장의 한acousticchaser.tistory.com   하지만, 어떤 일이든 그렇듯 불편한 마음이 들게 하는 사람이 없진 않다. 어쩌면 대나무 밭에서 비밀을 털어놓는 심정으로 이 글을 적어 본다. 내 .. 어쿠스틱 에세이 2022. 12. 27.
"만 오천 원"짜리 통기타 수업 평생 학습센터 사무실에서 기타 수업에 사용할 악보를 복사하던 중이었다. 필라테스 수강생 한 분이 매 시간 사용할 물티슈를 준비해달라고 직원에게 요청을 했다. 공용 매트를 닦는 용도로 사용할 것이란다. 직원은 코로나 문제도 있고 하니 개인 매트를 사용할 것을 권유하며 완곡히 거절했다. 그러나 수강생은 다른 센터는 다 제공해준다며 같은 요구를 반복했다. 그렇게 약간의 실랑이 끝에 수강생이 돌아가고 나서 직원은 나에게 동조를 구하는 듯이 웃으며 말했다. "만 오천 원짜리 수업 들으면서 참 바라는 거 많네."   나 역시 수강생이 좀 별나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에 싱긋 웃고 말았지만, 순간 많은 생각이 들었다. '만 오천 원짜리 수업'이라는 단어에는 거부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직원의 말 뜻을 너무나도 잘 알지만 .. 어쿠스틱 에세이 2022. 6. 8.
통기타, 하다 보면 될까? "선생님, 하다 보면 되겠죠?" 요즘 수강생들이 내게 자주 건네는 말이다. 나는 그때마다 "기타만 놓지 않는다면 잘 될 겁니다." 하고 답한다. 이렇게 긍정적으로 답하는 이유는 이 질문이 '나를 좀 위로해 주세요.'처럼 들릴 때가 많기 때문이다. 잘하고 싶지만 더디게 느는 실력 때문에 지치는 마음을 어찌 모르겠는가? 그냥 시간만 보낸다고 잘 될까?  기타 뿐만이 아니라 어떤 것을 배울 때 혼자 고민하고, 연습하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레슨을 잠깐 들었다고 해서 바로 느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 점은 조금씩 높은 수준으로 올라설수록 더욱 그렇다.    이렇게 스스로 행하는 피드백이 없다면 계속해서 레슨을 듣는다 해도 실력 향상을 체감하기 어렵다. 게다가 수강생이 느끼는 지루함을 생각하면 같은 .. 어쿠스틱 에세이 2022. 1. 6.
기타 레슨에서 강사의 나이도 중요할까? 요즘 기타 레슨이 많아지면서 수강생들의 연령층도 다양해지고 있다. 적게는 열 살부터 많게는 여든까지.. 그야말로 전 세대를 아우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업이 늘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더할 나위 없는 즐거움이지만, 그렇다고 고충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중 하나가 음악적 세대차이다.  레슨에서도 드러나는 세대차이?  앞선 글에서 선곡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렇다보니 기타를 연주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잘 담으면서도 수강생의 흥미를 불러올 수 있는 노래를 고르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하지만, 수강생과 내가 알고 있는 음악의 괴리가 클수록 이 작업이 쉽지 않다. 말 그대로 '세대차이'라는 벽을 느끼는 것이다. [어쿠스틱 에세이] - 기타 레슨을 거듭하면서 느끼는 선곡의 중요성 .. 어쿠스틱 에세이 2021. 8. 14.
기타 레슨을 거듭하면서 느끼는 선곡의 중요성 처음 기타 레슨을 시작했을 때의 긴장감이 누그러지고, 수업의 흐름이 자연스러워지기 시작하면 스스로의 커리큘럼에 자신감이 붇기 시작한다. 그러나, 또 다른 레슨을 진행하다 보면 이렇게 하는 것이 맞나 싶을 정도로 의구심이 들 때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같은 성향의 사람은 단 한 명도 없고, 레슨에서 요구하는 바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내가 서면으로 내세우는 커리큘럼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 편, 레슨을 진행하다보면 서로 다른 두 가치관이 대립하기도 한다. 하나는 '기타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원하는 스타일로 맞춰줄 것인가', 다른 하나는 '내가 정해놓은 커리큘럼과 연주법을 고집할 것인가'다.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모범답안이지만, .. 어쿠스틱 에세이 2021. 8. 9.
기타 강습에 대한 같은 말, 다른 뜻 내가 잠시 음악학원에서 일했을 때, 식사를 마친 원장이 나에게 말했다. "대충 놀아주고 돈도 벌고, 참 좋은 일이지 않냐?" 나와 비슷한 꿈을 가진 사람이라 생각했고, 귀인이라 여겼던 원장의 한마디는 충격이었다.    그 무렵, 60대 후반쯤으로 보이는 신사 한 분이 레슨을 받으러 오셨다. 진도가 느리더라도 여유 있는 레슨을 원했던 그는 수업 중에 인생의 경험담이나 사업 이야기를 들려주곤 했다. 한 날은 "참 좋은 일을 하고 계십니다."하고 말문을 여시길래 어떤 이유에서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여쭈어봤다. 그는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이내 정적을 깨고 말을 이어갔다.   "사업을 하다 보면 남에게 상처를 주거나 싫은 소리를 해야 할 때가 많아요. 오늘도 그럴 일이 좀 있었는데 그때마다 마음이 좋지 않습니다... 어쿠스틱 에세이 2021.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