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기타를 구입해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는다. 그럴 때면 요청받은 기타의 가격대와 상관없이 10만 원대, 혹은 20만 원대 기타들도 함께 연주해보곤 한다. 아무래도 기타를 시작하는 많은 분들이 이 가격대의 기타를 많이 찾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가끔 소리가 좋고, 줄높이 세팅을 받지 않아도 될 정도로 괜찮은 기타를 만나기도 하는데 그럴 때면 직접 쓸 요량으로 구입하기도 한다. 이 글에서 소개할 크래프터 HT-250MH도 그중 하나다. 크래프터 HT-250 MH/BR의 스펙 마호가니 상판(합판) 제품명에 있는 MH는 마호가니를 의미한다. 즉, HT-250의 마호가니 상판 버전이라 할 수 있다. 뒤에 붙는 BR은 '브라운' 정도로 유추할 수 있는데 굳이 쓸 필요가 있었나 싶다. MH를 붙인 순간 이미 HT-2..
2021년 말, 드디어 크래프터도 탄화목 상판을 사용한 기타를 출시했다. 본사에서 샘플 기타를 처음 접하고 블로그에 소개한 지 2년 만이다. 내심 양치기 소년이 된 것 같아서 마음이 무거웠는데 늦게라도 나와주어 다행이다. [악기 리뷰/통기타] - 2020년, 크래프터 기타의 주요 변화점 및 신제품 2020년, 크래프터 기타의 주요 변화점 및 신제품 지난 2019년 12월 초, 오랜만에 양주에 있는 크래프터 코리아 본사에 다녀왔다. 원래는 다녀온 직후에 써야 했을 글이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이제야 글을 남긴다. 예전에 크래프터 기타의 뉴 프 acousticchaser.tistory.com 탄화목은 이미 타 브랜드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그리 새로울 것은 없다. 하지만, 기존의 크래프터 기타들이 가지..
풍성하고 깊은 저음을 가진 큰 통기타가 인기 있던 시절이 가고, 기동성이 좋은 작은 기타가 득세하고 있는 요즘이다. 첫 기타로 OM바디를 구입하는 비중만 봐도 작은 기타로 대세가 바뀌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악기 리뷰/통기타] - 테일러 GS 미니로 시작된 미니기타의 고급화 - 크래프터 마이노, 콜트 리틀CJ 테일러 GS 미니로 시작된 미니기타의 고급화 - 크래프터 마이노, 콜트 리틀CJ 미니 기타, 혹은 주니어 기타는 저렴한 엔트리급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실제로 예전에 국산 브랜드 대부분은 미니 기타를 합판으로 생산했다. 그나마 2010년대 초(아마도 슈퍼스타 K 이후), 통기 acousticchaser.tistory.com 기타 제조사들도 빠르게 유행에 편승하고 있다. 미니 기타의 라인업을 늘..
바야흐로 작은 기타의 전성시대다. 영원히 기타의 표준일 것만 같았던 드레드넛 바디보다 OM 바디 인기가 돋보이고, 심지어 주니어, 또는 여행용 기타로 등장한 미니 기타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 그리고, 이런 미니 기타 인기의 중심에 테일러 GS미니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인기 절정의 GS미니에도 단점은 있다. 바로 스펙 대비 너무 비싼 가격이다. 탑솔리드 스펙이지만, 가격은 왠만한 올솔리드 기타를 상회하니 선뜻 지갑이 열리지 않는다. 또, '같은 가격이면 올솔리드 미니 기타도 구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하는 생각도 든다.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도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며 여기까지 오셨으리라. 올솔리드 미니 기타 그렇게 최후까지 고민한 두 대의 올솔리드 미니..
우쿨렐레처럼 스케일이 짧은 악기들은 인토네이션(혹은 피치)이 불안한 경우가 많다. 내가 쓰고 있는 저가 우쿨렐레 역시 하이 프렛에서 인토네이션이 틀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고가의 제품은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까 싶은 의문을 갖고 있던 차에 지인이 구입한 코알로하 우쿨렐레는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KCM-00 제품명의 의미 요즘 기타를 볼 때도 제품명에서 스펙이나 컨셉을 유추해보곤 한다. KCM-00에서 'K'는 Koaloha, 또는 Koa를 떠올릴 수 있다. 그런데 제품 카탈로그에서 코아를 사용하지 않은 우쿨렐레의 제품명에도 K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첫 글자 K는 코알로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글자 'C'는 Concert를 뜻한다. 즉, 우쿨렐레의 대표적인 바디 세..
공연이나 녹음을 하다 보면, 곡에 따라서 클래식 기타와 같은 나일론 스트링 사운드를 필요로 할 때가 있다. 그러나, 막상 클래식 기타를 잡아보면 넓고 두툼한 넥 때문에 원하는 연주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아마 일렉기타나 통기타를 메인으로 다루는 연주자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겪어본 상황일 것이다. 이런 연주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클래식 기타도 꾸준히 개량되어 왔다. 50mm가 넘는 너트 폭을 줄여서 47, 48mm 너트를 가진 나일론 스트링 기타가 많아졌고, 급기야 통기타와 거의 같은 45mm 너트를 가진 기타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글에서 소개할 콜트 CEC5도 그중 하나다. 이름에서 보이는 CEC 시리즈의 컨셉 제품명이 무엇을 뜻하는지 파악하면 그 제품의 컨셉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CEC라는..
작년에 썼던 비일라 VGACMM 리뷰에서 너트 슬롯 간격을 단점으로 지적한 바 있다. 실제로 이 기타를 사용하고 있는 지인도 좁은 줄 간격으로 인해 연주가 불편하다고 호소했다. 이 점을 완전히 해결하려면 너트를 교체하는 수 밖에는 없어서 일단 리페어 샵으로 향했다. [악기 리뷰/통기타] - 비일라(veelah) VGACMM - 10만원대 통기타에서 50만원대 기타소리가 난다고? 비일라(veelah) VGACMM - 10만원대 통기타에서 50만원대 기타소리가 난다고? 미래엔 어떨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2020년을 기준으로 정보의 중심이 유튜브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부인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특히 기타와 같이 소리가 중요한 악기 콘텐츠들은 이 acousticchaser.tistory.com 만..
시그마 000M-1ST는 40만 원 대 기타를 찾는 분들께 자주 추천하는 기타다. 최고라고 장담할 수는 없지만 소리가 좋은 것은 물론이고, 넥감이나 내구성 등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블로그에도 소개해볼까 싶어서 글을 열었다. 그런데 얼마 전에 000M-1ST를 비롯한 시그마 기타의 제품명들이 조금씩 바뀌었다. 리뷰를 쓰기위해 시그마 홈페이지에 들렀다가 알게 됐다. 급기야 이번에 또 다른 지인의 기타를 구입할 때는 새로 바뀐 기타를 받았다. 과연 바뀐 것은 이름뿐일까? 제품명이 000M-1으로 바뀌었다 우선 제품명이 바뀌었다. 완전히 체계가 바뀐 것은 아니고 ST가 빠졌다. 기업 입장에서 잘 팔리는 제품의 이름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데, 알파벳 두글자 빠진 정도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