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배음이 매력적인 기타줄 - 스트링조이 밸런스드 브론즈 스트링
많은 연주자들이 기타 줄을 고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당연히 소리와 연주 감이다. 하지만, 가격과 수명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래서인지 많은 연주자들이 가격 대비 기대수명을 중시하는 편이다. 예전에 리뷰한 적이 있었던 엘릭서 스트링이 인기가 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가 아닐까 싶다.
[스트링/기타줄] - 수명이 긴 코팅 기타줄의 대명사 엘릭서 스트링(폴리웹과 나노웹 차이)
수명이 긴 코팅 기타줄의 대명사 엘릭서 스트링(폴리웹과 나노웹 차이)
통기타는 비교적 스트링을 교체하기 수월한 악기다. 간단한 설명만 들으면 누구나 쉽게 기타줄을 갈 수 있을 정도다. 이렇게 쉽게 교체가 가능함에도 수명이 긴 스트링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큰 것은 그만큼 통기타..
acousticchaser.tistory.com
반면 이 글에서 다룰 스트링조이 스트링은 가격 대비 수명에 있어서는 최악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코팅이 되어있지 않은 기타줄임에도 불구하고 24,000원이라는 고 가격이기 때문이다. 선뜻 손이 안 가면서도 '도대체 소리가 어떻길래 가격이 저렇게 비쌀까?' 하는 궁금증도 자아낸다. 비싸긴 하지만 궁금한 것은 참기 힘들어서 한번 구입해봤다.
하이엔드를 표방한 브랜드 - 포장부터 화려하다
스트링조이(Stringjoy) 기타 줄은 포장부터가 예사롭지 않다. 요즘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비닐팩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종이상자로 포장되어 있는데 그 상자도 타브랜드에 비해 유난히 두툼하다. 마치 겉포장에서부터 24,000원이라는 가격을 납득시키려는듯한 인상을 받았다.
상자의 뒷면에는 스트링조이의 장점이 빼곡히 적혀있다. 튜닝의 안정성이나 부드러운 연주감, 미국 생산 등 다른 브랜드에서도 봤을법한 뻔한 내용이다. 관건은 실제 연주에서 어떤 퍼포먼스를 보여주느냐겠다.
상자의 내부도 고급스럽다. 기타 줄과 함께 리워드 카드가 동봉되어 있고, 그 뒷면에는 친필 싸인이 들어있다. 아마도 기타줄 와운딩을 수작업 한 직원의 싸인이 아닌가 싶다. 그만큼 품질을 보증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리워드 카드에 적히는 포인트를 모으면 보상이 있는 듯한데 우리나라에서는 해당사항이 없어 보인다.
내부 포장은 비닐로 진공 포장이 되어 있고, 그 안에 종이로 낱줄 포장되어있다. 하이엔드를 표방해서인지 포장도 3중 포장이다. 굳이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싶지만, 나름대로는 고급화 전략인가 보다.
내추럴 브론즈, 라이트 게이지
스트링조이 기타줄을 살펴보다 보면 다소 생소한 용어를 접하게 된다. 내추럴 브론즈(Natural Bronze)와 브라이트 브라스(Bright Brass)가 바로 그 것이다. 전자는 타브랜드의 포스포 브론즈, 후자는 80/20 브론즈라고 보면 된다. 그저 이름만 바꾼 것인지 성분비의 차이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나는 두가지 성분 중 조금 더 보편적인 내츄럴 브론즈를 선택했다.
게이지 또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라이트 게이지를 선택했다. 6번 줄 게이지가 마틴과 같은 0.054인치다. 타브랜드의 0.053인치에 비해 풍부한 저음을 기대하시는 분들도 많던데 개인적으로는 6번 줄의 0.001인치 차이에서 오는 저음 차이보다는 브랜드에 따른 성향 차이가 더 크게 다가온다. 조금 더 굵다고 성량이나 저음이 드라마틱하게 좋아지진 않는다는 말이다. 기타 줄의 성분과 게이지에 따른 차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로 대신한다.
[스트링/기타줄] - 기타줄 추천 받기에 앞서 종류부터 알아보자
기타줄 추천 받기에 앞서 종류부터 알아보자
애초에 한편으로 정리하려 했던 '기타줄 종류에 따른 음색 특징'에 관한 글을 총세편에 걸쳐 마무리했다. 그래서 세편의 글을 요약하여 종합하는 글의 필요성을 느꼈다. 제목을 조금 다르게 붙여본 것은 검색 키워..
acousticchaser.tistory.com
연주감 및 음색
상자 뒷면에 적혀있는 대로 상당히 부드럽다는 게 첫인상이다. 촉감 자체도 부드러운 편이지만, 소리도 부드러워서 연주 감이 더 그렇게 느껴지는 듯하다. 혹자는 장력이 세다고 하는데 다른 줄에 비해 특이할 정도로 세진 않다. 다만 명료하고, 단단하게 울리는 소리 때문에 장력이 세다고 느낄 수도 있겠다. 그것도 아니라면 요즘 연습량이 많아진 탓에 장력에 무뎌진 것일지도 모르겠다.
스트링조이 내추럴 브론즈의 가장 큰 특징은 아주 화려한 배음을 지녔다는 것이다. 저음이 그렇게 풍부한 편은 아니지만 단단하게 울리며 밸런스가 굉장히 좋고, 중고음의 배음이 매우 화려하다. 그 덕분에 굉장히 달콤한 소리가 나는데 잘 에이징 된 메이플이나 코아 기타의 느낌도 묻어난다. 실제로 중고음역의 배음이 좋은 테일러 메이플 바디인 614CE에 걸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할 정도다.
반면, 나는 정반대 성향의 기타에 사용한 경우다. 마틴 D-35MP는 저음이 강조된 다소 건조한 소리가 특징인데 스트링조이는 이 것을 상쇄할 정도로 화려한 배음을 낸다. 또, 풍부한 고음만큼 해상도도 좋아져서 개인적으로는 만족스럽다. 만약 달콤하고 화려한 소리를 원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 스트링은 맞지 않다.
총평
전체적으로 가격이 아깝지 않을 소리라 생각한다. 다만 다소 과할 정도의 배음 때문에 약간의 호불호는 있겠다. 또, 처음에 언급한 대로 비코팅현이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것도 감안해야 한다. 항상 이 스트링을 사용하는 것은 다소 무리겠지만, 호기심에라도 한 번쯤은 사용해봐도 좋은 기타 줄이 아닌가 싶다. 특히 배음이 좋은 올솔리드 기타를 사용하고 있다면 더더욱 말이다.
댓글